목록전체 글 (102)
솔미는 성장중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cQawiR/btsxh4D30K7/PUwF9kft3ozfYMDog2CJ90/img.png)
useQuery, useMutation, useQueryClient 훅에 대해서 각각 설명하시오 useQuery 훅은 데이터를 서버로부터 가져오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훅은 기본적으로 비동기 작업을 수행하고 데이터를 캐싱하며, 데이터가 변경될 때 자동으로 리렌더링되도록 해줍니다. useQuery는 쿼리 함수와 옵션 객체를 받아 실행하고, 서버로부터 데이터를 가져오고 캐시에 저장합니다. useMutation 훅은 서버에 데이터를 수정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이 훅은 비동기 작업을 수행하고 성공 또는 실패에 따라 적절한 로직을 처리할 수 있도록 해줍니다. useMutation은 뮤테이션 함수와 옵션 객체를 받아 실행하고, 서버에 데이터를 보내고 응답을 처리합니다. useQueryClient 훅은 현재 Quer..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보호되어 있는 글입니다.
![](http://i1.daumcdn.net/thumb/C150x150/?fname=https://blog.kakaocdn.net/dn/m7IFg/btswbDlFTVa/rMdu9cPfgbr9N1bvYC50sK/img.png)
1. vercel 설치 npm i -D vercel 2. package.json 파일에서 scripts 부분에 vercel 서버를 열 수 있는 명령어 추가 "vercel": "vercel dev" 3. vercel 서비스가 동작할 때 기존에 dev 명령어를 통해 동작하는 미리 만들어둔 프로젝트도 같이 동작하게 만들어주기 (vercel에 dev명령어를 알려줘야 한다) - vercel.json 파일 생성한 후 아래 코드 입력 { "devCommand": "npm run dev", "buildCommand": "npm run build" } 4. vercel에서 제공하는 serveless function 써보기 ( 별도로 서버를 직접 구축하지 않고도 그 기능을 함수 단위로 작성해서 바로 사용할 수 있는 것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