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록자바스크립트 (11)
솔미는 성장중

시작자바스크립트에서 0.1 + 0.2를 해보면 0.3이 아닌 0.30000000000000004가 나오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왜 그런걸까요?결론부터 말하자면 자바스크립트는 64비트 부동소수점을 사용하기 때문입니다. 부동소수점이란?그럼 부동소수점이라는 건 뭘까요?쉽게 표현하면 모든 숫자를 1.xxxxxx 형식으로 나타낸다는 것입니다.자바나 파이썬의 Float 타입, 자바스크립트의 number타입이 해당됩니다. 자바스크립트는 숫자 타입을 나타날 때 IEEE 754의 부동소수점 표현 형식 중 배정밀도 64비트 부동소수점 형식을 따릅니다.- 처음 1 Bit : 부호 표시용 (양수 = 0, 음수 = 1)- 11 Bits : 지수 부분. (소수점이 몇 칸 움직일 지)- 52 Bits : 가수 부분 (소수점이 움직..

1. Console log : 일반 메세지 warn : 경고 메세지 error : 에러 메세지 dir : 속성을 볼 수 있는 객체를 출력 (ex. console.dir(documnet.body) : body태그에서 사용가능한 속성/메소드 확인가능) 🎃 콘솔에 메세지나 객체를 출력한다. console.count('이름') console.countReset('이름') cf) 아무런 이름도 추가하지 않으면 default : 횟수 형태로 출력 🎃 콘솔에 메소드 호출의 누적 횟수를 출력 or 초기화 console.time('이름') console.timeEnd('이름') cf) 동일한 이름을 써서 시작, 종료 시점을 알려줘야 하고, 두 코드 사이에 동작하는 코드를 넣어서 실행하는 데 얼마나 걸렸는지 알아볼 수 있..

🎃 .addEventListener() 대상에 이벤트 청취(listen)을 등록. 대상에 지정한 이벤트가 발생했을 때 지정한 함수(Handler) 호출 ex) click, dbclick(더블클릭시), wheel, keydown, mousedown(버튼 누를때), mouseup(버튼 뗄때), mouseenter(포인터가 요소 위로 올라갈 때), mouseleave(포인터가 요소 밖으로 나올 때), mousemove(포인터가 움직일 때), contextmenu(우클릭했을 때) 등등.. click 예시) childEl.addEventListener('click',() => { childEl.classList.toggle('active') //actvie클래스 있으면 없애고, 없으면 만들고. }) wheel 예..

원시 데이터의 "데이터 불변성" 원시 데이터 : String, Number, Boolean, null, undefined 원시 데이터에서는 단순하게 모양이 다르면 false가 나온다고 생각해도 틀리진 않는다. 하지만 정확히는 '메모리 주소'가 같고 다름에 따라 true/false가 바뀐다. let a = 1 let b = 4 console.log(a,b,a===b) //1 4 false -> 메모리 주소가 달라서 false b=a console.log(a,b,a===b) //1 1 true -> b가 a가 가리키는 메모리주소를 가리키게 됨 a=7 console.log(a,b,a===b) //7 1 false -> 메모리 주소가 달라서 false 새로운 원시 데이터를 사용했을 때 그 원시 주소가 기존 메모..
fetch (주소, 옵션) 네트워크를 통해 리소스의 요청(request)과 응답(response)을 처리한다 promise 인스턴스를 반환 console.log(fetch('https://www.omdbapi.com/?apikey=********&s=avengers')) //Promise 📍 fetch를 통해 promise 인스턴스를 반환하니 뒤에 then 메소드를 써줄 수 있다. fetch('https://www.omdbapi.com/?apikey=********&s=avengers')) .then(res => console.log(res)) //Response 📍 json 메소드를 호출해야 데이터를 꺼낼 수 있다. fetch('https://www.omdbapi.com/?apikey=********&..